로그인

지식산업센터의 정의

 

 

지식산업센터는,

제조업, 지식산업, 정보통신산업의 업종 대상의 산업 집적활성화를 위한 시설으로

산업 구조 전환, 공장 용지의 부족 등을 해결하기위한 시설

 

지식산업센터의 정의

 

동일 건축물안에 다수의 공장이 동시에 입주할 수 있는 다층의 집합건물.

토지 이용의 고도화, 관리운용의 효율화 등을 목적으로 홍콩, 싱가포르 등 공업용지가 부족한 국가에서 활성화 되고 있는 공장형태로,

주안(82) 시범공단을 시발로 꾸준히 개발되고 있는 신 첨단공장으로의 개발사업 형태다.

도시형업종 가운데 다수의 중소기업을 입주시키고 이에 따른 부속시설을 공동사용할 수 있는 공장 전용 복합건물을 말한다. 

 

지식산업센터의 법률적정의

 

산업집적활성화및공장설립에관한법률 제2조의 13,산업집적활성화및공장설립에관한법률 시행령 제4조의 6


동일 건축물에 제조업, 지식산업 및 정보통신사업을 영위하는 자가와 지원시설이 복합적으로 입주할 수 있는 다층형 (3층 이상) 집합건축물로서 6개 이상의 공장이 입주할 수 있는 건축물


지식산업센터에 입주할 수 있는 시설은

① 제조업, 지식기반산업, 정보통신산업, 그 밖에 특정 산업의 집단화와 지역경제의 발전을 위하여 산업단지관리기관 또는 시장, 군수, 구청장이 인정하는 사업을 운영하기 위한 시설,

② 벤처기업을 운영하기 위한 시설,

③ 그 밖에 입주업체의 생산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시설로서 금융, 보험업 시설, 기숙사, 근린생활시설 등의 시설

 

지식산업센터 도입배경

지식산업센터는 공업용지가 절대 부족한 대도시의 토지이용을 고도화할 수 있는 대표적 입지형태로서,

근대화된 시설 지원을통해 입주기업의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 있다. 또한 도심지역에 분산되어 있는 공

장의 집단화와 미관 개선을 통해 중소 규모 공장이 난립함에 따라 노정되는 주거환경 훼손과 도시기능

저해를 방지함으로써 도시환경의 개선은 물론 등록 공장의 합법화에도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. 

불어 자금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이 저렴하게 자가공장을 확보하기가 용이하고, 쾌적하고 능률적인 작업

환경을 갖추고 도심 내 입지로 인해 종업원 확보와 같은 노동력 공급도 용이해질 것으로 기대할 수 있다.

 
지식산업센터 전체 건물에 대한 일괄적인 관리를 통해 관리 인력의 절감과 비용을 감축할 수 있는 등 관리상의 이점도 있으며, 관련 입주업체간 상호교류를 통한 기술개발, 시설의 공동이용, 공동구매 등을 통해 경영합리화가 가능할 것이다.
 
이밖에도 자금지원, 세제감면 혜택을 제공하고 있어 중소기업의 안정적인 사업을 최대한 지원하고 있음.